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0

간단한 논리 연산 문제 설명boolean 변수 x1, x2, x3, x4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다음의 식의 true/false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 주세요.(x1 ∨ x2) ∧ (x3 ∨ x4)  class Solution { public boolean solution(boolean x1, boolean x2, boolean x3, boolean x4) { boolean answer = ((x1|x2) & (x3|x4)); return answer; }} 2025. 1. 14.
배열 만들기 4 문제 설명정수 배열 arr가 주어집니다. arr를 이용해 새로운 배열 stk를 만드려고 합니다.변수 i를 만들어 초기값을 0으로 설정한 후 i가 arr의 길이보다 작으면 다음 작업을 반복합니다.만약 stk가 빈 배열이라면 arr[i]를 stk에 추가하고 i에 1을 더합니다.stk에 원소가 있고, stk의 마지막 원소가 arr[i]보다 작으면 arr[i]를 stk의 뒤에 추가하고 i에 1을 더합니다.stk에 원소가 있는데 stk의 마지막 원소가 arr[i]보다 크거나 같으면 stk의 마지막 원소를 stk에서 제거합니다.위 작업을 마친 후 만들어진 stk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문제 읽으면서 생각 정리if(i반복문if(stk.length == 0) {stk.add(arr.. 2025. 1. 14.
콜라츠 수열 만들기 문제 설명모든 자연수 x에 대해서 현재 값이 x이면 x가 짝수일 때는 2로 나누고, x가 홀수일 때는 3 * x + 1로 바꾸는 계산을 계속해서 반복하면 언젠가는 반드시 x가 1이 되는지 묻는 문제를 콜라츠 문제라고 부릅니다.그리고 위 과정에서 거쳐간 모든 수를 기록한 수열을 콜라츠 수열이라고 부릅니다.계산 결과 1,000 보다 작거나 같은 수에 대해서는 전부 언젠가 1에 도달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습니다.임의의 1,000 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 n이 주어질 때 초기값이 n인 콜라츠 수열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문제 읽으면서 생각 정리if(x가 짝수) { x=x/2;}else if(x가 홀수) {x=3*x+1;}반복해서 x가 1이 되면 멈춘다 -> while문 문.. 2025. 1. 13.
카운트 업 문제 설명정수 start_num와 end_num가 주어질 때, start_num부터 end_num까지의 숫자를 차례로 담은 리스트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문제 읽으면서 생각 정리for(int i=0; i  문제 풀면서answer[0] = start_num으로 정해두기1만 더하는 것이 아니라 이전 원소에 + 1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start_num, int end_num) { int length = end_num - start_num + 1; int[] answer = new int[length]; answer[0] = start_num; for.. 2025. 1. 13.